신남방정책을 비롯한 다양한 흐름들에 의해 동남아시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재, 동남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한 줄기로써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 동남아센터는 사회과학연구원 신흥지역연구산업단과 함께 동남아의 역사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한국과 아세안의 교류가 강화되는 현재 동남아의 역사, 특히 현대사를 살피는 일은 교류하는 국가의 정치·경제·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이에 따라 동남아센터는 이번학기 동남아의 여러 국가 중에서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초점을 맞춰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두 국가의 현대사를 살펴보는 내용의 열린강연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번호 일시 강연자(소속) 발표 내용
1 2021년 11월 5일 금요일 윤대영(서울대) 비교와 지역으로 보는 베트남 역사의 멀고도 가까움
2 2021년 11월 12일 금요일 이한우 (서강대) 베트남 현대사 속의 분단, 전쟁 및 통일
3 2021년 11월 19일 금요일 여운경(서울대) 네덜란드 식민지배와 “인도네시아”의 등장
4 2021년 11월 26일 목요일 송승원(한국외대) 인도네시아 현대사 개괄

 

  • 참여 대상: 본 강연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
  • 일시: 11/ 5, 12, 19, 26 (금) 오후 5:30-6:50 (60분 강의, 20분 질의응답)
  • 강의 방법: 동남아센터 온라인 줌 회의실에서 강연 진행, 라이브로 송출 (녹화 예정)
  • 주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 신흥지역연구사업단

 

강연자 및 강연 내용

 

1.강연자 : 윤대영,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프랑스 파리7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동남아시아사며, 주로 베트남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과 동북아시아를 연계하는 연구를 비교사, 지역사 차원에서 진행해 왔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마주보는 두 역사 인천과 하이 퐁>>(2010), <<1862-1945, 한국과 베트남의 조우>>(2013), 역서 <<베트남 현대사: 통일에서 신공산주의로 1975-2001>> 등이 있다.

강연내용

이 강의는 베트남의 전반적인 역사를 비교사(comparative history)와 지역사(regional history)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4,000년의 역사 중에서 근현대 이전의 전통 시대 역사는 한국사와의 비교를 통해 이해하면서 베트남사 고유의 특성을 파악해 본다. 이 과정에서 주변 지역, 특히 중국과 참파 및 캄보디아와의 대외 관계가 다루어진다. 아울러, 근현대 시기의 역사는 인도차이나반도를 벗어나 세계 곳곳에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2.걍연자 : 이한우.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및 동남아시아학 협동과정 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및 대학원 동남아시아학 협동과정 교수로 있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베트남 개혁정책을 연구하여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베트남의 정치경제 개혁 및 체제 전환과정, 한국-베트남 관계 등이다. 최근 발표한 연구로 “베트남의 정치적 보수화와 경제개혁의 지속: 제12차 및 제13차 공산당대회 분석”(2021), “베트남 개혁 시기 국회 조직 및 기능의 지속과 변화”(2020), “Road to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Vietnam: Factors and Policy-making Process”(2020), “한국의 베트남 연구”(안청시‧전제성 편. 2019.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역사, 현황 및 분석?) 등이 있다.

강연내용

베트남은 19세기 말부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았고, 1941년부터 일본과 프랑스의 공동 지배를 받았다. 1945년 일본이 항복하며 베트남이 독립을 선포했으나, 곧 프랑스가 식민 지배를 복구하려고 획책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을 치른 후, 1954년에 분단되었다. 그 이후 남북 베트남 및 미국을 비롯한 국가들이 참여하여 전쟁을 치렀다. 이것이 제2차 인도차이나전쟁, 곧 베트남전쟁이다. 베트남은 1975년에 마침내 통일을 이뤘고 그 이후 남북 사회의 통합을 추진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겪은 베트남인들의 경험은 유사한 역사적 과정을 거친 한국인들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이 강연은 베트남 현대사의 전개 과정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

 

3.강연자 : 여운경,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부교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사, 동 대학 국제대학원에서 석사,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 연구 분야는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 근현대사이고,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인도네시아의 정치, 사회적 변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HK조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동남아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동 학회 연구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베스털링을 찾아서: 1950년대 인도네시아의 탈식민지화와 네덜란드인 문제」(2018), 「1950-60년대 정치변화와 수카르노의 “혁명” 」(2017) , “Illegalizing Licitness? Bartering along the Indonesian Borders in the Mid-20th Century” (2016) 등이 있다.

강연내용

본 강의는 지금의 인도네시아 지역이 네덜란드의 식민지배를 받게 되는 과정과 그로 인한 사회변화를 소개한다. 19세기 이후 네덜란드령 동인도(Netherlands East Indies)라는 이 지역에서 어떤 정치사회적 변화들이 발생했는가, 그리고 그런 변화들이 어떻게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의 발전과 “인도네시아”라는 정치적 실체의 등장에 기여했는가를 살펴본다.

 

4. 강연자 : 송승원, 한국외국어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통번역학과 교수

미국 오하이오대에서 인도네시아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강대 동아연구소에서 HK교수를 거쳐 한국외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동남아학회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와 말루쿠 지방의 역사에 대해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다. 특히 전통시대의 사회계급과 기원신화, 종족관계 등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로는 Jin Worship, Founders’ Cults, and Social Relations in Tidore, Indonesia (2021), The Revival of Adat and the Articulation of the ‘Kingdom slot’ in Loloda, North Halmahera, Indonesia (2021), A heavenly nymph married to an Arab sayyid: stranger-kingship and diarchic divisions of authority as reflected in foundation myths and rituals in North Maluku (2019), Origin narratives, origin structures, and the diarchic system of Buton kingdom, Indonesia (2018) 외 다수가 있다.

강연내용

본 강의는 인도네시아의 현대사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민이 종료한 이후, 인도네시아에서 민족주의가 태동하는 과정과 이데올로기 세력의 성장과 격돌, 대통령 집권기의 특징에 대해 소개한다. 각 집권기 별로 설명해보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가 판차실라라는 국가 이데올로기를 통하여 구축하고자 한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방향은 무엇인가? 수카르노는 냉전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어떻게 몰락했으며, 냉전 이데올로기는 동시에 수하르토가 차기 대통령이 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개발의 아버지라 불리던 수하르토는 왜 몰락하였고, 이후 포스트-수하르토 시대의 특징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개혁기에 차례로 등장한 유숩 하비비, 압두라흐만 와히드,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그리고 현재의 조코 위도도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각 대통령의 집권기는 수하르토기와 어떠한 공통성과 차별성을 가졌는가? 이 강의는 짧은 시간이나마 인도네시아 현대사가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발전해 왔는지를 추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