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 발표 보고서에서 동남아 최고 투자대상국으로 선정 –
– 반면, WEF 발표 국가경쟁력지수에서는 전년대비 4계단 하락 –
– 열악한 투자환경 상쇄할 만한 높은 시장 매력도가 원인 –
□ 개요
ㅇ 최근 UN 무역개발회의(UNCTAD)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인도네시아는 글로벌기업들이 선정한 투자 유망 국 중 9위를 차지해 전년대비 5계단 상승했으며, 이는 동남아 국가들 중에서는 최고임.
ㅇ 반면, 역시 최근에 발표된 국가경쟁력 지수에서는 전년대비 4계단 하락한 41위를 차지했으며, 주요 투자 환경인 노동, 인프라 분야에서도 전혀 개선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ㅇ 이러한 엇갈린 평가는 풍부한 천연자원, 세계 4위 인구대국을 바탕으로 한 거대시장 등 열악한 투자환경을 상쇄할 만한 높은 시장매력도가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임.
□ 인도네시아, 동남아 중 최고 투자 유망지로 선정
ㅇ UNCTAD는 2016년 10월 발표한 세계 투자동향 모니터(Global Investment Trends Monitor) 보고서에서 2016~2018년 투자유망 대상국 조사를 실시함. 이 조사는 다국적 기업(Multi-National Enterprises, MNE) 경영자들의 답변에 근거해 이뤄졌으며, 이 조사에서 인도네시아는 전체 국가들 중 9위를 차지함.
<그림> 다국적기업(MNE)들이 선정한 2016~2018년 투자 유망국
(단위: %)
주: 단위는 답변 CEO의 전체 비율, 국가명 우측 괄호 안 수치는 이전(2014년 조사) 수치
(출처: UNCTAD Global Investment Trends Monitor(2016.10))
ㅇ 이 조사에서 인도네시아는 브라질, 멕시코에 이어서 전체 중 9위를 차지했으며, 동남아 국가 중에서는 말레이시아와 함께 유일하게 10위권에 진입했으며, 말레이시아보다 한 단계 앞섬. 2014년 14위에서 5계단 상승했으며, 신흥국 가운데서는 중국, 인도, 브라질, 멕시코에 이은 5위를 기록함.
ㅇ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을 중심으로 한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번 발표를 고무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제조업, 인프라 산업 등 최근 FDI가 활발한 산업을 중심으로 관련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해 외국인 투자를 더욱 활성화시킬 대책들을 마련 중이라고 밝힘.
□ 글로벌 경쟁력은 전년대비 4계단 하락
ㅇ 위의 발표와는 대조적으로 2016년 9월에 공개된 글로벌 경쟁력 지수에서 인도네시아는 전년대비 4계단 경쟁력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WEF(World Economic Forum)는 매년 글로벌 경쟁력 지수 조사를 하는데, 올해 국가경쟁력 지수(GCI: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2016~2017)에서 인도네시아는 138개국 중 41위를 차지, 전년 37위 대비 하락
ㅇ 주변 인접국들의 경쟁력도 중국을 제외하고 대체로 하락세를 보였는데, 그 중 인도의 약진이 두드라짐. 인도는 작년 55위에서 올해 39위를 차지함. 중국의 국가경쟁력(GCI)은 전년과 동일(28위), 말레이시아 25위(전년 18위), 태국 34위(전년 32위), 필리핀 57위(전년 47위), 베트남 60위(전년 56위)를 기록
<표1> 2016년 WEF 국가경쟁력 순위 중 아시아 주요국 분야별 순위
인도네시아 |
중국 |
태국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베트남 |
|
국가 경쟁력 순위 |
41(37) |
28(28) |
34(32) |
25(18) |
57(47) |
60(56) |
도로 |
75(80) |
39(42) |
60(51) |
20(15) |
106(97) |
89(93) |
철도 |
39(43) |
14(16) |
77(78) |
15(13) |
89(84) |
52(48) |
항구 |
75(82) |
43(50) |
65(52) |
17(16) |
113(103) |
77(76) |
공항 |
62(66) |
49(51) |
42(38) |
20(21) |
116(98) |
86(75) |
전기 |
89(86) |
56(53) |
61(56) |
39(36) |
94(89) |
85(87) |
임금대비 생산성 |
29(33) |
27(20) |
52(53) |
6(5) |
37(19) |
62(45) |
임금결정 유연성 |
109(112) |
82(73) |
107(111) |
41(31) |
97(96) |
84(67) |
고용과 해고 |
27(34) |
25(17) |
28(23) |
10(6) |
76(74) |
42(44) |
(출처: World Economic Forum)
ㅇ 전체적으로 전년대비 개선된 것이 거의 없다는 평가를 받은 가운데, 평가 지표 중 매년 낮은 점수를 받아온 노동시장 효율성과 보건/기초교육 부분이 인도네시아 발전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ㅇ 인도네시아 노동시장의 경직적 구조는 임금 결정의 유연성(109위), 노동중복비용/퇴직수당(133위), 노동시장의 여성참여도(115위) 부분은 개발도상국 수준에서도 매우 열악한 평가를 받음. 보건/기초교육 부분은 숙련공이 부족한 인도네시아 노동시장의 큰 문제로 지적됨.
ㅇ 인도네시아의 인프라 부분 평가는 총 9개 평가항목 중 도로 구축(80위→75위), 철도(43위→39위), 항구(82위→75위), 공항(66위→62위) 등 전반적으로 인프라 구축이 전년대비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으나, 전력 공급 부문은 전년 86위에서 89위로 더 열악해짐.
□ 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 유입은 양호한 추이 보여
ㅇ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발표에 따르면, 2015년도 외국인 투자(FDI)는 293억 달러, 투자 건수는 1만7738건으로 투자액은 전년대비 2.6% 증가, 투자 건수는 40.4% 늘어남. 투자액이 전년대비 소폭 증가한 것에 반해 투자 건수는 약 두 배 늘어났으며, 이는 투자 신고들이 실질적인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냄.
<표2> 연도별 인도네시아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FDI) 추이
(단위: 억 달러, 건)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건수 |
투자액 |
건수 |
투자액 |
건수 |
투자액 |
건수 |
투자액 |
건수 |
투자액 |
3,592 |
195 |
4,416 |
246 |
6,863 |
286 |
8,885 |
285 |
17,738 |
293 |
(출처: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ㅇ 2016년 상반기에도 외국인 투자는 양호한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상반기 기준 141억 달러, 투자 건수는 1만2293건으로 집계됨. 전년도 상반기 대비 0.9% 투자액이 증가하고, 투자 건수는 62%의 증가율을 보임.
ㅇ 상반기 최대 투자국은 싱가포르(1위/48억9000만 달러), 일본(2위/29억 달러), 홍콩(3위/11억 달러)이며, 홍콩과 중국이 새로 TOP 5 투자 국으로 진입해 중국계 자본의 활발한 진출이 두드러짐.
<표3> 2016년 상반기 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 유입 상위 5개국 현황
(단위: 억 달러, %)
순위 |
국명 |
상반기 투자액 / 투자 건수 |
증감률 (전년동기 투자액) |
전년동기 순위 |
1 |
싱가포르 |
48.9 / 2,675건 |
112.6(23.0) |
2위 |
2 |
일본 |
29.0 / 1,725건 |
83.5(15.8) |
3위 |
3 |
홍콩 |
11.0 / 519건 |
511.1(1.8) |
9위 |
4 |
중국 |
10.1 / 805건 |
531.3(1.6) |
10위 |
5 |
네덜란드 |
6.3 / 475건 |
53.7(4.1) |
8위 |
(출처: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 시사점
ㅇ 해외 글로벌기업 투자가들이 인도네시아를 향후 동남아시아 최고의 투자국으로 꼽고 있는 반면, 실제 투자가 이뤄질 현지 사업환경에 대한 평가는 더욱 낮게 나타나고 있는 점은 인도네시아의 투자환경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음.
ㅇ 이는 해외 투자가들이 인프라, 노동력, 정책적 불확실성 등 열악해지는 투자환경을 상쇄할 만한 사업 기회를 인도네시아에 기대하고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즉, 2억5000만의 인구로 대변되는 거대시장, 세계 최고 수준의 천연자원 보유량, 소득 증가에 따라 시장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중산층 등의 기회요인이 인프라 미비 등의 불안요인을 일정 부분 압도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음. 양호한 유입세를 보이는 FDI 추이도 이와 같은 점을 뒷받침하고 있음.
ㅇ 하지만, 급감한 세계 원자재 수요, 아세안경제통합(AEC) 출범에 따른 역내 국가 간 기업 경쟁 심화, 인프라 구축 진행 지연에 따른 사회간접비용 상승 등 우호적이지 않은 주변환경으로 인해 해외기업의 투자심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환경 개선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UNCTAD, BKPM, WEF World Competitiveness Index 및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자료: KOTRA Global Window (2016-11-02)